8월 16일 윤석열 정부의 공식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었습니다. 250만호 + a 공급 대책이 발표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는데요. 실제 발표 내용도 270만호를 공급하겠다고 합니다. 그중에 특별하게 눈여겨볼만한 내용이 바로 청년원가주택 + 역세권 첫집 주택 사업입니다. 오늘은 해당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 원가 주택이란?"
청년원가주택이란 무주택 청년에게 건설 원가 수준으로 분양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체적인 분양가는 시세의 70% 정도라고 발표가 되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주요 대선 공약이기도 했었죠. 기존의 청년 주거 정책은 행복주택 등의 임대 정책 뿐이었는데요. 행복주택은 평수가 너무 좁고, 입지가 좋은 편이 아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었습니다. 또한 분양이 아닌 임대라서 내집마련이 아니란 점이 아쉬웠죠. 청년 원가 주택은 이런 아쉬운 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청년 원가 주택 특징은?"
1. 장기간 저리 대출 가능
청년들이 내집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목돈이 없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내집마련을 위해서는 신용대출까지 써서 소위 말하는 영끌을 하게 되죠. 역세권 첫집 주택에서는 이런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분양가의 80%를 40년 만기로 장기 저리 대출해준다고 하거든요. 따라서 분양가 3억원의 청년원가주택이라면 20%인 6000만원으로 내집마련이 가능합니다.
2. 시세 차익금 일부 환수
저렴한 가격에 분양하는 만큼 나중에 되팔 때 시세 차익금 일부를 정부에서 받는다고 합니다. 입주 후 5년 동안 실거주 한 뒤 정부에 집을 다시 되팔 수 있는데요. 이때 시세차익의 70%를 입주자가, 나머지 30%는 정부가 가져가는 시스템이라고 하네요.
3.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청년원가주택은 전용 59㎡(구 23평) 기준으로 3억원대의 분양가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입주 자격은?
청년원가주택에서 청년의 기준은 19세~39세를 말합니다. 흔히 2030세대라고 말하는 나이대가 청약 대상자가 되겠습니다. 한편, 소득 기준은 정확한 발표가 되지는 않았지만 지역 내 평균 근로자소득의 140~160% 이내로 검토될 것으로 보입니다.
"청약 일정과 분양 규모는?"
청년원가주택은 역세권 첫집 주택과 함께 총 50만 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이중 30%의 물량은 선호도가 높은 3기 신도시에서 공급한다고 하네요. 청약 일정은 연내에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에서 3000가구 규모의 사전청약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해당 사전청약을 통해 정확한 분양가와 분양 조건 등을 발표하겠다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가능한 빠르게 사전청약을 실시할 것으로 보이며, 원희룡 장관은 차질없이 공급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오늘은 8월 16일 발표된 청년 원가 주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곧 청년 주거 안정 대책도 발표된다고 하니 다음엔 해당 정보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2.08.10 - [사회초년생, 청년 정보] - 사회초년생 재테크, 월급 관리 방법
사회초년생 재테크, 월급 관리 방법
임용고시 합격하고 나서 발령 받은 후, 첫 월급을 받았을 때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내가 취업해서 번 돈이구나." "부모님 선물은 뭘 사드릴까?" 뿌듯한 마음이 앞서게 되죠. 그러나 행복한 마
goingmerry.tistory.com
2022.08.08 - [사회초년생, 청년 정보] - 중고차 구매 잘하는 방법, 중고차 리스크 줄이기
중고차 구매 잘하는 방법, 중고차 리스크 줄이기
안녕하세요 선원 여러분!! 2030's 고잉메리호 선장 청년초이입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면 꼭 하게 되는 것이 있죠. 자취방을 구하거나 통근용 차량을 구매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비용이
goingmerry.tistory.com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비 아껴주는 가계부 작성 쉽게 하는 꿀팁(feat.뱅크샐러드) (1) | 2022.08.20 |
---|---|
합리적인 알뜰폰 요금제 비교 및 추천 한방에 정리 (0) | 2022.08.19 |
중고차 사는 이유는?, 중고차 장단점 (0) | 2022.08.15 |
신차 vs 중고차, 신차의 장단점은? (0) | 2022.08.15 |
사회초년생 월급 관리 방법 쉽게 알아보기 (0) | 2022.08.10 |
댓글